INFO
고객센터
사이트맵
함께하는 교육
연재종료
기획기사
홈> 연재종료꼭지> 기획 칼럼>
서천석 행복 비타민
NIE홈스쿨
논리 대 논리
아하 디베이트
만평으로 세상보기
사설로 세상보기
한겨레 그림판
기획 칼럼
엄마와 떠나는 공부여행
신숭화 궁금해요
대안교육, 대안학교
안연근 교사의 대입나침반
김상호 박사의
톡 까놓고 진로 톡
박재원의 공감학습
김진철 기자의
경제기사 바로읽기
이한 변호사의
제대로 공부법
강창진 아나운서의 스피치
조기원의 학습코칭
유성룡 입시전망대
고정민 진로ㆍ직업클리닉
이지은 통통! 학습법
인광복 인문학 올드앤뉴
임성하 창의적 아이
임성미 창의적 읽기
서천석 행복 비타민
진로교육 나침반
진로교사 다이어리
이범 거꾸로 공부법
신을진 학습 클리닉
이나미 어른생각 아이마음
남관희 학부모 코칭
고현숙 학부모 코칭
아하!한겨레
함께하는 교육
읽을거리
전문가 칼럼
독서/논술
학생수습기자방
서천석 행복 비타민
2009년 03월 30일
능력 키우기 위한 도전에 칭찬을
아이들의 잠재능력은 고정되어 있을까? 아니면 변화하는 것일까? 적지 않은 사람들은 잠재능력이란 이미 정해진 것이며, 문제는 숨겨진 능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의 캐럴 드웩 교수는 30여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이런 시각을 정...
2009년 03월 23일
달성 가능한 목표 설정해야
변화하고 싶은 마음을 아이가 가졌다고 해서 그 마음이 그렇게 굳건하지는 않다. 어느 정도 변할 수 있겠지만 과연 가능한지 아이는 지속적으로 회의를 갖고 있다. 이 상태의 아이들은 긍정적인 면을 이야기하면서도 “저도 그것이 좋다고 생각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
2009년 03월 16일
삶의 선배로서 객관적 조언을
모든 변화는 몇 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다. 입춘이 벌써 지났건만 우수가 지나서야 양지녘 햇살이 따뜻해졌다. 두터운 웃옷을 벗어 버리려면 경칩은 지나야 한다. 아이들의 변화도 마찬가지다. 로드아일랜드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제임스 프로차스카는 인간의 변화 과정을 정식화하면...
2009년 03월 09일
스스로 달라지도록 기다려 주자
아이의 변화를 기대하는 부모에게 가장 큰 좌절은 변화의 필요성을 도통 느끼지 못하는 듯한 아이의 모습이다. 그냥 놔둘 수도 없고, 그렇다고 혼을 내봐야 소용도 없고. 어떻게 아이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 아니 어떻게 아이가 스스로 변화하려는 마음을 갖게 할까? 앞으로 몇 차...
2009년 03월 02일
뒹굴 수 있는 ‘지루함’ 허락하라
우리 집에는 텔레비전과 게임기가 없다. 필요가 없고 내가 싫어하기 때문이다. 그것들이 아이들의 폭력성이나 뇌파의 불안정성을 유발한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이유는 아니다. 내가 그것들을 싫어하는 데는 다른 이유가 있다. 24시간 나오는 텔레비전과 언제든 접근할 수 있는 비디...
2009년 02월 23일
새 담임선생님에게 적응하도록 돕자
새 학년을 맞는 부모들의 주된 관심사 중 하나는 아이의 새로운 담임선생님이다. 누구나 ‘좋은 선생님’이 자신의 아이를 맡아주기를 기대한다. 아이들을 치료하다 보면 심한 불안에 시달리는 아이가 선생님이 보고 싶어서 학교에 가려고 하는 경우도 있고 학습장애로 ...
2009년 02월 16일
아이의 정서에 관심을 갖자
갈수록 아이 키우기가 힘들다고 아우성이다. 알고 보면 배부른 시대의 이야기다. 먹고살기 힘들었을 때 아이 키우기는 어른들의 삶에서 중심일 수는 없었다. 아이 키우기가 부모들의 관심의 초점이 된 것도 우리가 어느 정도 살게 되면서 벌어진 일이다. 예전의 아이들은 부모의 삶...
2009년 02월 09일
아이 습관 고칠 땐 상황 고려를
아이들의 안 좋은 습관을 바꾼다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일이다. 아무 데나 옷을 벗어놓는 아이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대부분의 부모들은 그런 아이를 야단친다. 그러나 아이는 같은 잘못을 계속 반복한다. 부모는 아이가 말을 안 듣는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심한 말도 ...
2009년 02월 02일
대안교육 함께 실천하자
설 명절이 지나면 부모들의 걱정이 더 는다. 친척들이 아이에 대해 던진 말들이 자꾸 떠오르기 때문이다. 아이가 고집이 세다거나 부산하다는 등의 말은 마치 부모에 대한 지적처럼 느껴져서 여간 부담되는 게 아니다. 그런 와중에 어느 집 아이가 공부를 잘한다거나 어떤 상을 받...
2009년 01월 19일
설 연휴 의미있게 보내려면
아이들이 바라는 것이 뭔지를 살펴보면 요즘 아이들의 삶이 어떤지 분명히 느껴진다. 아이들에게 설날이 기다려지는 이유를 물어보면 첫번째는 세뱃돈이고 다음은 학원을 쉬는 것이고 세번째는 각종 인터넷 게임들의 설날 이벤트라고 답한다. 무엇보다 돈이 가장 중요하고, 공부 스...
1
2
3